-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00)
Phantom
음...원래 이글은 좀더 일찍 포스팅 했어야 하는데 어찌어찌 하다보니 이제야 책을 피고 다시 포스팅을 하네요 하하..... 시스템이 부팅되고 얼마나 오랫동안 가동되고 있는지 알고 싶을 때는 "uptime" 명령어를 사용 하면 됩니다 ------------------------------------------------------------------------------------------------------------[phantom@localhost ~]$ uptime14:46:58 up 2 days, 12:30, 1 user, load average: 0.00, 0.00, 0.00------------------------------------------------------------------..
음.... 요새 글을 많이 쓰게되네요. 이게 제가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요 하하^_^a 그냥 외우긴 싫고 머리에는 집어넣고싶고 그러다보니 해결책을 찾은듯 해요 ㅎㅎ 일단은 뜻이 다를 수 있으나 글을 써보겟습니다. 리눅스에서의 프로그램이란,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파일중 실행가능한 파일을 프로그램이라 합니다.음....프로그램이니 실행 가능한거 겟죠?;;; 이건 딱히 표현할게 없네요 그리고 프로세스란 메모리에 로딩된 프로그램을 뜻합니다. 프로세스의 종류로는----------------------------------------------------------------------------------------------------------------------------------1. 대화형 프로세스 : 터미..
리눅스의 부팅은 몇가지 절차를 거치면서 부팅이 된다. 1. LILO(LInux LOader)로더라고 하는 프로그램은 커널을 메모리에 적재하는 일을 한다. 많은 사람은 LILO가 멀티 부팅을 이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반드시 멀티 부팅이 아니더라도 리눅스 부팅을 하려면 반드시 LILO가 있어야 한다. 시스템에 전원이 들어오면 가장 먼저 디스크의 첫번째 섹터에 해당하는 MBR(Master Boot Record)을 읽어 부트 관련 프로그램인 로더를 실행한다.※LILO는 예전에 쓰던 부트로더이며, 현재는 Grub을 사용합니다.-------------------------------------------------------------------------------------------------------..
GNOME 프로젝트는 리눅스와 같은 운영체제에서 완전히 무료인 데스크톱 환경을 만들려는 노력으로 탄생하였다. 처음부터, GNOME의 주요 목적은 사용자에게 친근한 응용 프로그램의 모음과 사용하기 쉬운 데스크톱을 제공하려는 것이었으며, C언어를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KDE는 'the K Desktop Environment'의 약자로, 여기서 K는 윈도 시스템의 X처럼 단순히 'the K Desktop Environment'를 나타낸다. KDE는 우리에게 친숙한 MS사의 윈도우와 유사하여 사용하기에 익숙하며, 파일매니저, 윈도우 매니저, 헬프 시스템, 컨피규레이션(Configuration)시스템과 각종 애플리케이션들의 집합체이다. 즉 리눅스 시스템을 위한 데스크탑 환경을 의미한다.KDE가 실행되는 시스템은 ..
미국 레드햇 소프트웨어 사가 제품화하고 있으며, 리눅스 운영 체제로 하드 디스크를 구성하기 위한 유틸리티의 하나. 하드 디스크의 파티션 영역을 작성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리눅스를 설치할 경우에는 사전에 하드 디스크의 구성을 결정해두어야 한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fdisk는 텍스트 콘솔 타입이고 디스크 드루이드는 하드파티션을 좀더 쉽게 할 수 있도록 비주얼한 wizard 형식을 지원한다.
컴퓨터 작동을 원활히 하려면 하드웨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넣어주어야 하는데, 이 정보를 기억하는 곳을 BIOS라 한다. 바이오스란 Basic Input Output System의 약자로 기본적인 입출력 시스템을 의미하며, 모든 데이터의 기본동작인 입/출력을 제어하는 일종의 프로그램이다. 물론 우리가 흔하게 사용하는 워드나 오피스 프로그램들과는 그 성격이 다르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 형태인 펌웨어(Firmware) 라고 한다. 결국, 입출력 간의 모든 데이터 즉, 구체적인 정보를 이 BIOS에 알려주는 장치가 CMOS이고, 컴퓨터를 구성하는 각각의 하드웨어 환경을 CMOS에 기록 및 수정하는 작업을 CMOS Setup이라 한다.
POSIX는 유닉스 운영체제에 기반을 두는 일련의 표준 운영체제 인터페이스 이다. 표준화에 관한 필요성은, 컴퓨터를 사용하는 기업들이 다시 코딩하지 않고서도 다른 컴퓨터 회사가 만든 컴퓨터 시스템에도 운영할 수 있도록, 호환성이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원하는 데에서 기인했다. 유닉스는 제작자와 비교적 무관한, 중립적인 상황에 있엇기 때문에 표준 시스템 인터페이스로 선전되었다. 그러나 몇몇 주요 유닉스 버전들은 공통분모에 해당하는 시스템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엇다. 비공식적으로, POSIX내의 각 표준은 POSIX라는 용어 다음에 소수로 표시하도록 정의되었다. 그래서 POSIX.1은 C언어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의 표준이며, POSIX.2는 표준 쉘과 유틸리티 인터페이스이다. 쓰레드 관리용 POSIX...
안녕하세요 Phantom 입니다. 하하......급 민망하네요 아직 블로그를시작한지 얼마 안되서 그런가 그냥 혼자 쓰고싶다는생각도 드는데 그래도 이것도 좋겟다 싶어서요 ㅎㅎ seq 명령어는 Print a SEQuence of Numbers 라는 뜻으로숫자를 순서적으로 출력하는 간단한 명령어인거 같네요 사용법은 "seq 10" 이라 치면 1~10 까지 출력됩니다. 그리고 seq 3 10이라 치면3~10 까지 출력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seq 1 2 10이라고 치면1 3 5 7 9라고 출력이됩니다. 음...간단한 명령어네요 ㅎㅎ
커널이란 OS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인 자원을 관리하며 시스템이 원할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에저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커널은 태스크전환, 메모리, 시스템호출, 하드웨어입출력 등을 처리합니다.커널이 처리하지 않는것은 디바이스 드라이버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등이 맡습니다.가상 메모리 처리까지 커널 외부로 꺼내어 가능한 커널의 기능을 줄인 것을 마이크로 커널이라 하며, 마이크로 커널 이전의 전통적인 커널을 모노리딕(monolithic kernel)이라 부릅니다.리눅스에서의 커널은 Major Number, Minor Number, Patch Number로 표기하는데 이때 Major Number는 획기적인 변화가 있을때 변하게 되고 Patch Number는 패치가 수행된 횟수를 나타냅니다.또한 리눅스 커널은 ..
음....오늘 포스트할건 리눅스의 기초 명령어들인데요. 워낙 쉬운거라 지나칠수도 있겟지만 옵션 인자들을 외우기 무지힘들더라구요 ㅠ 그래서 오늘 포스팅 해봅니다 ㅎㅎ ------------------------------------------------------------------------------------------------------------ls - 해당 디렉토리에 있는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 Syntax : ls [-option] [directory/file] Option-a(all) :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 표시-l(long, --format) : 자세히 출력-d(--directory) : 디렉토리 정보 출력-n(--numeric : 출력시 UID/GID 사용-F(--classiF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