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00)
Phantom
1. 시스템의 기본로그파일에 대하여시스템에 접속을 하거나 하고있는 정보를 기록하는 파일이 있습니다. 해커가 침입을 하고난 후에는 자신의 접속정보를 삭제하는 작업을 하게되는데 아래의 파일에서 자신의 접속로그를 삭제하게됩니다. /var/run/utmp 또는 /var/adm/utmp/var/log/wtmp 또는 /var/adm/wtmp/var/log/lastlog 또는 /var/adm/lastlog 2. utmp 파일먼저 utmp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 파일은 현재시스템에 접속해 있는 사용자의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시스템은 사용자가 remote로 접속을 하면 먼저 이 파일에 기록을 하고 로그아웃을 할 때에 기록해둔 정보를 삭제합니다.그리고 이 파일의 구성요소를 결정하는 파일은 /usr/include/..
fsck 파일 시스템 유지보수. 손상되거나 훼손된 파일이 있는지 파일시스템을 주기적으로 점검해야 합니다. /etc/fstab 파일의 pass number 필드에 0보 다 큰 값이 있는 경우 부팅시 자동으로 파일 시스템을 점검합니다. Option -A : /etc/fstab 파일로 가서 한번에 모든 파 일을 점검하려고 시도.-V : 수행중인 사항에 대한 추가정보를 인쇄. -t fs-type : 점검할 파일 시스템의 유형을 지정. -a : 어떤 질문도 하지 않고 파일 시스템에서 발견되는 모든 문제를 자동으로 수리.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함. -r : 파일 시스템을 수리하기 전에 확인을 요청. -s :파일 시스템을 점검하기 전에 슈퍼블럭 을 나열. fsck명령은 실제로 사용자기 지정하는 유형 과 일치하는 파일 ..
현재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하는 명령어입니다. 예제 (ex #1 sync
[질문] ldconfig 명령이 수행하는 것이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ldd 명령이 수행하는것은? /lib/ld.so /etc/ld.so.conf /etc/ld.so.cache 3개의 파일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 [답변] ldconfig, ldd 명령어 ldconfig 는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so)로 소스컴파일 한 실행 파일을 ldd [파일이름] 해보면 링크가 안되어 있을시 경로를 못찾는 것들이 나오는데 이를 해결할때 사용합니다. 이때 동적링크를 /etc/ld.so.conf 에 해당 라이브러리 경로를 삽입 후 ldconfig 하면 리눅스 커널이 /etc/ld.co.conf에 있는 라이브러리..
음...오늘 포스팅할 이 줄리안 일자는요 리눅스를 배우다 알게 된건데 개인적으로 신기하네요??뭐 대부분 발명된 것들은 신기하긴 한데 날짜를 계산하려고 발명했다는데 대단하다 느껴지네요 ㅎㅎ 줄리안 일자란 1583년에 조셉 스켈리저에 의해 발명된 방법으로 7980년 동안 그 주긱 시작하는 날로부터 특정 일자까지 지난 일수를 말하며, 어떤 날짜와 다른 날짜 간의 차이를 정수로 표현함으로써 계산을 쉽게 하려고 발명 되었고, 현재까지도 천문학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7980년이라는 주기는 몇 가지 전통적인 시간주기(태양, 달, 특별한 로마의 세금 주기 등)를 조합하여 공통의 배수를 도출하였는데, 줄리안 일자의 첫 번째 나짜가 기원전 4713년 1월 1일이며, 서기 3268년 1월 22일에 끝나게 되어 있습니..
리눅스에서 명령어를 입력할때 뜨는 터미널에서 프롬프트는 항상 비슷한 형식을 가지고 있는데요 예를들어, ----------------------------------------------------------------------------------------------------------------------------------[root@localhost /]#---------------------------------------------------------------------------------------------------------------------------------- 가장 먼저 나타나는 "root"는 현재 로그인한 계정을 나타냅니다. 결국 저 상태는 지금 root 로 로그인 ..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리눅스 시스템의 종료 과정을 하겠습니다. 리눅스 시스템을 종료 할 때는 종료 명령을 사용하지 않고 전원을 끄면 안됩니다. 다른 시스템들도 마찬가지겠지만 그냥 전원을 끄게되면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깨질 수 있고 OS파일도 깨질 수 있으며 하드디스크 등등이 손상이 됩니다. 무엇보다도 작동 중인 프로세스에 시스템 종료 신호를 전달하고 현재 작동 중인 프로그램이 중지되도록 하지 않으면, 예상치 못한 시스템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리눅스에서의 시스템을 종료시키는 방법은 3가지 정도가 있는데요.---------------------------------------------------------------------------------------------------------..
데몬은 주기적인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계속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데몬은 수집된 요구사항들을 또 다른 프로그램이나 ㅡ로세스들이 처리할 수 있도록 적절히 전달합니다. 데몬의 예로는 각 웹 서버들이 웹 클라이언트나 사용자들한테서 들어오는 요구사항들을 계속해서 기다리는 HTTPD라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음...안녕하세요 Phantom입니다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저번에 했던 것을 이어서 리눅스 기초명령어를 포스팅할건데요 기초명령어가 생각해보니 꽤 많네요 하하...... 손 부서질거같아요 ㄷㄷ 허허.........점점할말이 없어지네요...;; 뭐 아무든 여담은 여기까지합시다 ㅎ ----------------------------------------------------------------------------------------------------------------------------------alias - 별칭지정 명령alias는 쉽게말해서 자주쓰는 명령어들을 별명으로 묶어서 간단하게 쓰는 명령어입니다예를들어 원래 "mv" 라는 명령어도 alias로 지정되어 있어서 "mv -i"를 "mv"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