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300)
Phantom
온라인 게임의 소스 코드를 포함한 지적 재산을 훔칠 뿐만 아니라 해당 게임사의 코드 서명에 이용되 정상적인 디지털 인증서를 훔치는 것이었다 이 부분이 쇼킹하다. 떡이떡이@ITViewpoint 4월 15일자 보도자료 카스퍼스키 랩, 국내외 온라인 게임사를 노린 사이버 스파이 활동을 밝히다 ! 사이버 범죄 조직인 “Winnti”가 전세계 게임사, 특히 국내 게임사를 공격하고 악의적인 목적으로 게임사의 지적 재산과 디지털 인증서를 훔친 것으로 나타났다. 보안 및 위협 관리 솔루션 업계를 선도하는 카스퍼스키 랩(www.kaspersky.co.kr)은 “Winnti”로 알려진 사이버 범죄 조직의 사이버 스파이 활동을 밝힌 분석 리포트를 발표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Winnti” 그룹은 2009년부터 전 세계 온..
요새 "Anonymous" 라는 해커단체가 실시간 검색어 순위에 오르고 있는데요. 저도 뭔가해서 검색해보니 여러 글들이 나오고 여러가지 사건들이 벌어졌더군요. 살발하게 해킹을 해주신 어나니머스 코리아, 실력은 대단한가봐요 허허... 일단 Anonymous 라는 단어는 익명 이라는 뜻입니다. 해커에겐 필수죠. Anonymous는 전세계적인 hacktivism집단입니다. 여기서 hacktivism이란 "인터넷의 대중화에 따라 정부의 컴퓨터 시스템에 침입하여 정치적·사회적 목적으로 해킹이나 시스템을 파괴하는 행위. 해커(hacker)와 정치·사회적 행동(activism)의 합성어입니다." 뭐 말그대로 해킹을 한다이거죠. 이 집단은 한 곳으로 모여서 집중적으로 활동하는 조직은 아니고 일종의 커뮤니티라네요. 주로..
아 요새 리눅스 공부를 하다보니 여러 모르는 단어들이나와서 고생이네요ㄷㄷ.. 뭐 원래 아는것도없지만 잊지않으려고 오늘도 적어봅니다 허허... FHS란 Filesystem Hierachy Standard, 파일 시스템 계층구조 표준 이라는 뜻으로 리눅스 운영체제의 주 디렉토리를 정의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전통적인 BSD(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 유닉스계열의 OS) 파일 시스템 계층구조 표준입니다. 디렉토리 구조 DirectoryDescription/기본 계층 모든 파일 시스템 계층의 기본인 루트 디렉토리/bin/모든 사용자를 위해 단일 사용자 모드에서 사용 가능해야 하는 명령어 바이너리, e.g., cat, ls,cp./boot/부트 로더 파일, e.g., kernels,..
1. 기능 시스템 상의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2. 문법 # finger [ 옵션 ] 사용자 3. 옵션 -s : 사용자의 로그온 이름, 실제이름, 터미널 이름, 로그온 시간 등을 보여준다. -I : -s 옵션 정보에 몇 가지를 추가하여, 여러 줄에 걸쳐서 보여준다. -p : -l 옵션 정보에서 .plan과 .project 파일을 보이지 않는다. 인수로 아무 것도 주어지지 않으면, finger는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 되어 있는 사용자들을 보여준다. 옵션이 주어지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l 옵션을 사용한 것으로 간주된다. 4. 사용방법 및 정보 가) [root@sense ~]# finger lebowski Login: lebowski Name: sense choi Directory: /home/l..
며칠 전 소개한 북한 해커 사건 http://itviewpoint.com/255774 은 사실이었다. 한국인들의 개인정보가 이미 공개된 채 돌고 있는 셈이고, 그 근원지 중 한곳이 북한임이 공식 확인된 것이다. 이 뿐만 아니라 수많은 악성코드, DDOS 공격툴 등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해커들이 북한에 존재하고, 실제 한국 IT자원을 교란하기 위해 국내 일부 사람들과 협력하고 있음도 밝혀졌다. 심각한 상황이다. 두번 읽고 세번 읽어야 할 자료다. 반공이냐 종북이냐의 문제가 아니다. 리니지 오토 사건 http://itviewpoint.com/192932 에 비할 바가 아니다. 이건 실제 상황이다. 젠장. Exif information loading... - 이 보도자료는 2013. 4. 8.(월) 이후..
OSI 7 계층(Open System Interconnection 7 layer) - 특징이 다른 여러 호스ㅡ를 연결해 통신하려면 연결방식을 표준화 해야 하는데 국제 표준단체인 ISO에서 OSI 7 계층을 제안하였다. 7계층 모델 계층별 기능1.물리 계층(Physical Layer) - 호스트를 전송매체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규칙과 전송매체의 특성을 다룬다. 2.데이터 링크계층(Data Link Layer) - 물리적 오류를 감지하는 기능을 제공해 송수신 호스트가 오류를 인지할 수 있게 해준다.일반적으로 네트워크에서의 오류제어는 송신자가 재전송하는 방법으로 처리한다. 3.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 데이터가 올바른 경로를 선택할수 있도록 지원하는 계층이다.중개시스템은 일반적으로 ..
네트워크에서의 시스템은 컴퓨터라고 가정하겠습니다. 노드(Node) - 인터넷에 연결된 시스템을 가장 일반화한 용어 호스트(Host) - 일반적으로 컴퓨팅기능이 있는 시스템을 호스트라 부른다.인터넷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인터넷 호스트와 통신 할 수 있는 컴퓨터를 호스트라 부른다. 클라이언트와 서버(Client and server) - 클라이언트 - 서비스를 요청하는 시스템서버 -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서버와 클라이언트는 상대적입니다.예를들어 세개의 시스템이 있다고 가정합시다.A B C의 시스템이있는데A = FTP서비스를 B에게 요청, B = FTP서비스를 A에게 제공, SSH서비스를 C에게 요청 C = SSH서비스를 B에게 제공이렇다면 A는 B의 클라이언트이고 동시에 B는 A의 서버입니다. 그리..
아......예전에 리눅스 서버를 처음배울때 네트워크 아주아주 기초를 배웠었는데 이제야 다시 제대로 네트워크를 독학하네요 ㅎㅎ 오늘 처음본거지만 참 신기한것도있고 어려운부분이 아직도 있네요 ㅋㅋ..서론은 이제 그만하고 본론을 써야겟네요 ㅋ책에있는 내용을 개인적으로 정리한겁니다. 시스템(System) - 내부 규칙에 따라 능동적으로 동작하는 대상, 예를들어 운영체제, 자판기, 자동차, 컴퓨터, 하드디스크 같은 물리적인 대상뿐만아니라, 신호등으로 교통을 제어하는 운영시스템 등등 프로그램의 실행상태를 의미하는 프로세스같은 논리적인 대상도 시스템이다. 인터페이스(Interface) - 시스템과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표준화된 접근방법,예를 들어 컴퓨터본체와 키보드 사이의 USB같은 규격뿐아니라 잭의 크기 등등이..
원래 마크업(markup)이란 신문사나 잡지사의 교정 기자들이 쓰는 특수 목적의 표기법으로, 문서의 논리적 구조와 배치 양식에 대한 정보를 표현하는 언어를 말한다. 마크업 언어는 문서에 포함된 문장이나 그림, 표, 소리 등과 같은 문서 내용에 대한 정보가 아니라 그 문장과 그림, 표는 어떻게 배치되고 글자는 어떤 크기와 모양을 가지며, 들여쓰기와 줄 간격, 여백 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쉽게 말하자면 마크업 언어란 글자 크기 그림 크기 길이 폰트 색 등등 화면 자체에서의 글자 양식? 등을 지정하는 언어 라는 생각이든다 예를들어 html이 있다.
http://time.navyism.com/?host=sugang.kongj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