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Phantom
OSI 7 계층(Open System Interconnection 7 layer) - 특징이 다른 여러 호스ㅡ를 연결해 통신하려면 연결방식을 표준화 해야 하는데 국제 표준단체인 ISO에서 OSI 7 계층을 제안하였다. 7계층 모델 계층별 기능1.물리 계층(Physical Layer) - 호스트를 전송매체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규칙과 전송매체의 특성을 다룬다. 2.데이터 링크계층(Data Link Layer) - 물리적 오류를 감지하는 기능을 제공해 송수신 호스트가 오류를 인지할 수 있게 해준다.일반적으로 네트워크에서의 오류제어는 송신자가 재전송하는 방법으로 처리한다. 3.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 데이터가 올바른 경로를 선택할수 있도록 지원하는 계층이다.중개시스템은 일반적으로 ..
네트워크에서의 시스템은 컴퓨터라고 가정하겠습니다. 노드(Node) - 인터넷에 연결된 시스템을 가장 일반화한 용어 호스트(Host) - 일반적으로 컴퓨팅기능이 있는 시스템을 호스트라 부른다.인터넷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인터넷 호스트와 통신 할 수 있는 컴퓨터를 호스트라 부른다. 클라이언트와 서버(Client and server) - 클라이언트 - 서비스를 요청하는 시스템서버 -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서버와 클라이언트는 상대적입니다.예를들어 세개의 시스템이 있다고 가정합시다.A B C의 시스템이있는데A = FTP서비스를 B에게 요청, B = FTP서비스를 A에게 제공, SSH서비스를 C에게 요청 C = SSH서비스를 B에게 제공이렇다면 A는 B의 클라이언트이고 동시에 B는 A의 서버입니다. 그리..
아......예전에 리눅스 서버를 처음배울때 네트워크 아주아주 기초를 배웠었는데 이제야 다시 제대로 네트워크를 독학하네요 ㅎㅎ 오늘 처음본거지만 참 신기한것도있고 어려운부분이 아직도 있네요 ㅋㅋ..서론은 이제 그만하고 본론을 써야겟네요 ㅋ책에있는 내용을 개인적으로 정리한겁니다. 시스템(System) - 내부 규칙에 따라 능동적으로 동작하는 대상, 예를들어 운영체제, 자판기, 자동차, 컴퓨터, 하드디스크 같은 물리적인 대상뿐만아니라, 신호등으로 교통을 제어하는 운영시스템 등등 프로그램의 실행상태를 의미하는 프로세스같은 논리적인 대상도 시스템이다. 인터페이스(Interface) - 시스템과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표준화된 접근방법,예를 들어 컴퓨터본체와 키보드 사이의 USB같은 규격뿐아니라 잭의 크기 등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