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 Today
- Total
Phantom
SAM [Sequential Access Method] 본문
반응형
요약 : 파일이 만들어지거나 파일을 검색할 때, 처음부터 끝까지 순서대로 기록되고 검색되어지는 파일 접근 형식을 말한다.
하나의 자료를 접근하기 위하여 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들을 차례대로 찾아가면서 원하는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에 도달해야 비로소 자료를 접근할 수 있으므로, 자료의 저장 위치에 따라 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를 접근하는 시간이 달라지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자기 테이프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를 접근하기 위하여 순차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1) 순차 파일의 생성:원하는 순서대로 저장매체에 자료들을 수록하는 과정을 말한다. 자료를 수록하는 방법에는 카드에 수록하는 방법, 자기 테이프에 수록하는 방법, 자기 디스크에 수록하는 방법, 광학 스캐너를 이용하여 광 디스크에 수록하는 방법 등이 있다.
2) 순차 파일의 검색:순차 파일의 자료는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검색해야 한다. 파일을 생성할 때 자료를 파일에 수록한 순서대로 레코드를 저장한다. 반대로, 자료를 검색하고자 하는 순서에 따라 자료를 수록할 순서를 결정할 수도 있다. 파일의 검색은 생산되는 출력의 양에 따라 보고서 생성과 조회를 구별할 수 있다. 순차 파일은 자료를 연속적으로 접근해야 하기 때문에 파일에 있는 자료를 전부 접근하는 작업에서는 매우 효율적이다.
3) 순차 파일의 갱신:순차 파일은 임의의 자료검색이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개별적인 트랜잭션이 발생하는 대로 처리하는 것보다는 이들을 모아서 한꺼번에 처리하는 일괄처리가 적합하다.
[출처] SAM | 두산백과
반응형
'프로그래밍에 대한 정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윈도우설치시 덮어씌워진 grub 복구 (0) | 2013.01.29 |
---|---|
LTS(Long Term Support)란? (0) | 2012.11.27 |
ubuntu MinimalCD (0) | 2012.10.28 |
다중 파티션의 이점 (0) | 2012.10.26 |
OpenGL (0) | 2012.10.25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