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antom

줄리안(Julian) 일자 본문

프로그래밍에 대한 정보들

줄리안(Julian) 일자

Ph4nt0m_ 2013. 5. 2. 17:48
반응형

음...오늘 포스팅할 이 줄리안 일자는요 리눅스를 배우다 알게 된건데 개인적으로 신기하네요??

뭐 대부분 발명된 것들은 신기하긴 한데 날짜를 계산하려고 발명했다는데 대단하다 느껴지네요 ㅎㅎ


줄리안 일자란 1583년에 조셉 스켈리저에 의해 발명된 방법으로 7980년 동안 그 주긱 시작하는 날로부터 특정 일자까지 지난 일수를 말하며, 어떤 날짜와 다른 날짜 간의 차이를 정수로 표현함으로써 계산을 쉽게 하려고 발명 되었고, 현재까지도 천문학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7980년이라는 주기는 몇 가지 전통적인 시간주기(태양, 달, 특별한 로마의 세금 주기 등)를 조합하여 공통의 배수를 도출하였는데, 줄리안 일자의 첫 번째 나짜가 기원전 4713년 1월 1일이며, 서기 3268년 1월 22일에 끝나게 되어 있습니다. 그 이후의 날들은 두 번째 줄리안 일자기간(또는 또다시 시작될 7980일 주기)의 첫날부터 시작될 것입니다. 2011년 5월 17일의 특정한 시간에 대한 줄리안 일자는 다음과 같이 표현이 됩니다.

----------------------------------------------------------------------------------------------------------------------------------

2,455,698.672719

----------------------------------------------------------------------------------------------------------------------------------

여기서 소수점 앞자리의 수 2,455,698은 줄리안 일자의 시작으로부터 그날까지 지난 날수를 의미하며, 672719는 그날의 시간을 나타냅니다. 줄라인 일자라는 명칭이 조셉 스켈리저의 아버지인 줄리어스 캐사르 스켈리저때문에 붙여진 것인지 율리우스력(Julian calendar) 이후에 붙여진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일반적으로 말하는 줄리안 일자는 특정한 연도의 시작으로부터 지난 일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미가 와전되었습니다.

반응형

'프로그래밍에 대한 정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ync 명령어  (0) 2013.05.06
ldconfig, ldd  (0) 2013.05.05
리눅스 프롬프트의 의미  (0) 2013.05.02
시스템 종료 과정  (0) 2013.05.02
부팅 후 현재까지의 시스템 가동시간 알아보기  (0) 2013.05.02
Comments